나무위키 등재 기준 나무위키에 유튜브 구독자 10만 가까운 분을 올렸었는데 등재 기준 미달로
나무위키에 유튜브 구독자 10만 가까운 분을 올렸었는데 등재 기준 미달로 내려갔는데 왜그런가요
인터넷 유명인의 등재 기준만을 만족하는 경우, 그 문서 내에서 등재 기준을 만족함이 명시적으로 나타나야 합니다.[10] 나타나 있지 않은 경우, 이를 근거로 문서 삭제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10] 단순히 콘텐츠 제공 페이지의 링크만을 첨부한 것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멀티 플랫폼 콘텐츠 제작자[11]의 경우 가장 유명한 플랫폼을 기준으로 하되, 인기 있는 주력 플랫폼이 무엇인지 명확히 서술해야 합니다.
단순 중계 방송인[12]은 등재하지 아니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부적절한 방법[13]으로 등재 기준을 만족하였음이 명백히 확인될 경우 등재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것으로 취급합니다.
부적절한 방법으로 등재 기준을 만족하였음이 확인되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플랫폼 운영사 측이 어뷰징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확인했을 경우
2. 사측 관리자의 판단으로 어뷰징이 인정될 경우
이 사유로 등재된 문서를 삭제한 경우 부적절한 방법에 대한 증거를 편집 요약을 통해 밝혀야 합니다.
성적인 재화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유일한 목적으로 하는 미디어·콘텐츠의 제작자는 등재하지 아니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성적인 재화 및 서비스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실에서의 성적 만남을 제공하거나 이를 빌미로 금전을 교부받는 경우
성인물 제작이 법률에 의거하여 금지되는 국적을 가진 자가 포르노그래피를 제공 또는 판매하는 경우
자기 자신이 아닌 타인(신원 및 게재 동의 여부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를 포함)이 포함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기타 관리자에 의해 위 사항의 어느 하나에 준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존 인물(실사)을 직접 묘사하는 것이 아닌 일러스트레이션, 애니메이션 또는 음성, 게임물 등의 창작자는 본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11] 예를 들어 방송 시 자신의 방송을 개인 방송 플랫폼(SOOP, 카카오TV, 트위치 등) 1곳에만 송출하지 아니하고 2개 이상의 방송 플랫폼을 통해 동시에 송출하는 방송인
[13] 팔로워가 봇으로 인해 급증한 경우 등
인터넷 콘텐츠 플랫폼(이하 플랫폼) 종류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방송 플랫폼: 영상, 소리 등의 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시청자에게 전달 가능한 플랫폼
미디어 플랫폼: 주로 영상, 소리 등의 미디어를 업로드하여 시청자에게 전달 가능한 플랫폼
마이크로 블로그: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텍스트나 미디어의 형태로 네티즌들에게 전달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
서비스형 블로그: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텍스트나 미디어의 형태로 네티즌들에게 전달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
방송 플랫폼: 트위치, SOOP, 치지직, 스푼 라디오, 팝콘TV, Weverse, 팬더티비, 플렉스티비 등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데일리모션, 비메오, 니코니코 동화, 빌리빌리, 사운드클라우드, 팟빵, 팟티, 틱톡 등
마이크로 블로그: 페이스북, X(舊 트위터), 인스타그램, 텀블러, 카카오스토리, 마스토돈, 브콘탁테, 시나 웨이보, 핀터레스트, 픽시브 등
서비스형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브런치, 블로거(블로그스팟), 워드프레스닷컴, 아메바, FC2 블로그 등
각각의 예시에 준하는 플랫폼 또한 각각의 플랫폼 종류로 간주 가능합니다.
아래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등재가 가능합니다.
1만 명 이상: 방송 플랫폼, 서비스형 블로그
3만 명 이상: 미디어 플랫폼[15], 마이크로 블로그
제도권 언론에서, 해당 인물이 주체로 나오는 기사가 3개 이상 보도된 적이 있는 경우
[14] 팔로워, 이웃, 애청자, 플러스 친구 등 그에 준하는 요소 포함
[15] 단, 업로드된 콘텐츠가 없는 경우엔 등재가 불가능합니다.
인터넷 방송인 모임은 합동 방송 등을 목적으로 구성된 크루, 팀 등의 친목 모임을 말합니다. 단, 모임 이름으로 된 별도의 채널이 있을 경우 인터넷 방송인으로 판단합니다.
아래의 등재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인터넷 방송인 모임을 주제로 하는 단독 문서의 등재가 가능합니다.
모든 구성원들이 각각 등재 기준을 만족하며 개별 채널을 가지고 있을 경우.
해당 모임이 합동 방송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일 경우.
문서 생성 이후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멤버가 들어올 경우 그 멤버에 관한 내용은 이름 및 직책 등 최소한의 프로필만 작성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강사의 경우 아래의 기준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해야 단독 문서 등재가 가능합니다.
공영 인터넷 강의 사이트에 소속된 강사일 경우
유명 사설 인터넷 강의 사이트에 소속된 강사일 경우
유명 사설 인터넷 강의 사이트란, 사이트 자체 혹은 해당 사이트를 운영하는 학원이 기업 등재 기준을 만족하며 제도권 언론에 한해서 해당 학원이 주체로 나오는 기사가 3개 이상 보도된 적이 있는 사이트를 말합니다.
토론 합의를 통해 문서 존속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 아래 조건에 해당되는 인물의 경우 추가 등재 조건을 만족해야 단독 문서 등재가 가능합니다.
기타 사설 인터넷 강의 사이트에 소속된 강사일 경우
더 이상 인터넷 강의 사이트에 소속된 강사가 아닌 경우
토론 합의를 통해 문서 존속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한 단독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하위 문서[16] 내에서만 500자 이하로 등재할 수 있습니다.
탑스코어러의 경우 아래의 기준을 모두 만족할 경우 등재할 수 있습니다.
문서 등재 시점에서 게임 내부 자체 랭크와 같은 객관적인 방식을 통해 해당 게임에서 상위 0.1% 안에 들 경우
방송 출연 여부[17][18], 혹은 인벤과 일간지, 탑 스코어러 관련 분야 게임 전문 잡지에 소개된 적이 있는지의 관한 여부
[18] 방송출연 인정 기준은 사회자가 게임 관련 프로그램에서 탑스코어러의 이름이 나오고 그 게임의 고수라며 소개를 했거나, 탑스코어러의 이름과 전신이 나온 경우로 한정합니다.